1. bashrc 수정
ls -a
nano .bashrc
- EC2 접속 후 ls 명령어를 통해 bashrc 파일 확인
- nano 명령어를 통해 bashrc 파일 수정
2. 환경변수 추가
export DB_URL=jdbc:mysql://엔드포인트:포트번호/데이터베이스명
export DB_USER=RDS에서 설정한 userName
export DB_PASSWORD=RDS에서 설정한 password
- 본인의 프로젝트의 application.yml에 입력된 환경변수 명을 설정해주고 값을 입력한다.
- 나의 경우 RDS 생성 시 초기 데이터베이스명을 입력하지 않아 MySQL에서 직접 생성해주었다.
3. 환경변수 적용 후 확인
source .bashrc
- source 명령어를 통해 환경변수를 적용한다.
- echo 명령어를 통해 정상적으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한다.
4. 서버 실행
java -jar 파일명.jar
- 정상적으로 서버가 실행되는 것을 확인한다.
5. 데이터베이스 확인
- JPA를 사용하였기에 자동으로 생성된 테이블을 확인한다.
6. 테스트
- Postman을 통해 api를 호출한다.
- 서버 내 로그에서 정상적으로 쿼리문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하여 테스트를 완료했다.
'개발진행목록 > 학습 커뮤니티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 커뮤니티] AWS로 CI/CD 구축하기(1) - 자동 배포를 위한 S3, CodeDeploy 연결 (0) | 2025.06.23 |
---|---|
[학습 커뮤니티] AWS로 개발 서버 구축하기(5) - Redis 연동 (0) | 2025.05.24 |
[학습 커뮤니티] AWS로 개발 서버 구축하기(3) - EC2 설정 및 빌드 (0) | 2025.05.21 |
[학습 커뮤니티] AWS로 개발 서버 구축하기(2) - RDS 생성 (0) | 2025.05.20 |
[학습 커뮤니티] AWS로 개발 서버 구축하기(1) - EC2 생성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