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pring Data Jpa14 영속성 관리 영속성 컨텍스트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EntityManger.persist(entity);논리적인 개념으로 눈에 보이지 않음엔티티 매니저를 통해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접근내부에 1차 캐시, 쓰기 지연 SQL 존재 엔티티 생명주기비영속 영속성 컨텍스트와 전혀 관계가 없는 새로운 상태영속 영속성 컨텍스트에 관리되는 상태로 영속성 컨텍스트 안에 객체가 들어간다고 생각 em.persist 이후 바로 데이터베이스 쿼리가 나가는 것이 아닌, commit 순간에 영속성 컨텍스트 안의 객체가 데이터베이스로 날아감준영속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분리된 상태(detached) 영속성 컨텍스트가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 못함(commit 등) em.detach(entity) : 해당 entity를 준영속 상태로 만듬 .. 2023. 8. 22. JPA(Java Persistence API)란 JPAJAVA 진영의 ORM 기술 표준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모음으로 구현된 클래스와의 매핑을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워크ORM(Object Relational Mapping)객체와 데이터베이스를 매핑해 주는 기술객체는 객체대로, 관계형 DB는 관계형 DB대로 설계ORM 프레임워크가 중간에서 매핑 역할 Hibernate대표적인 JPA를 구현한 구현체EntityManagerFactory, EntityManager, EntityTransaction 등을 상속받아 구현 JPA 사용 이유SQL 중심적인 개발에서 객체 중심적인 개발이 가능. 즉, 반복적인 CRUD 작업이 필요가 없음생산성em.persist(member) // 저장Member member = em.find(memberId) // 조회member.se.. 2023. 8. 17. 이전 1 2 3 다음